본문 바로가기

모노레포가 모노? - 모노레포 사용기 최근에 모노레포를 이용해 여러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카운터를 만들어 보고 사용 경험과 느낀점을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그전에 먼저 모노레포가 뭔지 간단하게 알아보겠다모노레포는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한개의 레포지토리에서 관리하는 방법이다기존의 방식은 monolith 방식으로 한개의 프로젝트를 하나의 레포지토리로 관리하는 것이다그에 반해 momorepo 방식은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하나의 레포지토리에서 관리한다monorepo의 장점코드 공유의존성 관리 이제부터 내가 모노레포를 구축하면서 어떤것들을 느꼈는지를 말해보겠다느낀점을 말하기 전에 원래 나는 yarn workspace를 사용해 모노레포를 구축했지만 패키지를 공유하는 기능을 구축하다가 에러가발생하였는데 관련 에러를 검색해도 국내에 모노레포 관련 글이 잘 없고 또..
트러블 슈우웃~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정말 많은 에러와 문제가 발생한다이런 문제가 생기면 왜 이 문제가 생기고 어떻게 해결하는지가 중요하다만약 생각 없이 그냥 에러를 복사해 chat gpt에게 해결해 달라고 하거나 검색해 바로 해결만 한다면다음에 같은 에러가 생겼을때 해결 하지 못할것이다 이럴때 할수 있는게 트러블 슈팅이다트러블 슈팅이란 문제 해결을 위해 문제의 원인을 논리적으로 찾아 해결하는 것이다나의 트러블 슈팅 경험을 말해 보겠다...! CORS ERROR내가 open api인 알라딘 책 정보 api를 사용해 개인 토이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 상황이었다그런데 내가 책 검색을 하는 api를 axios로 요청을 보냈는데 돌아오는 응답은 CORS ERROR였다CORS ERROR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낼때 같은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