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보안도 챙깁시다. - https 알아보기 서론요즘 메타 인지를 통해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지식들을 다시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하나씩 채워가고 있다.오늘은 부족한 지식 중 하나인 https에 대해 공부하려고 한다.HTTPSHTTPS는 'HTTP + Secure'의 약자로, 기존 HTTP에 보안 기능이 추가된 프로토콜이라고 이해하면 쉽다.HTTP 통신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평문(텍스트 형태)으로 전송된다.만약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탈취된다면, 전송되는 중요한 정보들이 그대로 노출될 위험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HTTPS가 나오게 되었다.HTTPS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달하여 중간에 탈취당해도 노출될 위험이 없다.SSL / TLSHTTPS는 SSL / TLS를 활용해 구현되었다.SSL은 Secure .. http, tcp/ip, 김주은 let's go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로 TCP/IP 위에서 데이터(html, 이미지, 영상, JSON, XML 등등)를 주고 받기 위한 규약이다특징클라이언트(client) - 서버(server) 구조무상태성(stateless)비연결성(connectionless)클라이언트(client) - 서버(server) 구조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누어져클라이언트는 서버로 request를 보내고 서버는 request를 받으면 그에 맞는 response를 보내는 구조이다무상태성(stateless)무상태성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 것이고 반대로 상태 유지(stateful)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는 것인데이해가 잘 안될 수도 있다 카페에서 내가 좋아하는 딸기 .. 이전 1 다음